최근 여러기업이 구글애널리틱스 프리미엄 (Google Analytics Premium) 과 어도비 옴니추어 사이트카탈리스트 (Adobe Omniture Site Catalyst) 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. 특히 이미 사용중인 분석툴에서 다른 툴로 전환을 고려하는 경우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는 과정을 거칩니다.
* 관련글: 어도비 VS 구글애널리틱스 리포트 비교
구글 애널리틱스 프리미엄 vs 어도비 사이트카탈리스트
작년에 Nebo Agency 에서 설명해놓은 포스트를 토대로 최근 2014년 업데이트를 포함해서, 아래 비교표를 만들어봤습니다.
(*추가정보: 구글애널리틱스와 어도비 옴니추어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)
![]() |
![]() |
|
1. 태그적용 및 기술관리 | ||
적용/관리 난이도 |
중-상급 난이도.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 소요. |
고급 난이도. 비교적 많은 시간과 노력 소요. |
코드 추가여부 |
YES |
YES |
기술지원 여부 |
YES |
YES |
유지관리/보수 |
중-상급 난이도.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 소요. |
고급 난이도. 비교적 많은 시간과 노력 소요. |
사이트 태깅 |
중-상급 난이도.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 소요. |
고급 난이도. 비교적 많은 시간과 노력 소요. |
2. 데이터 수집 | ||
월 수집가능횟수 (Data Hits) |
10억~최대 200억회까지 | 비용에 따라 달라짐 |
맞춤 변수 (Custom Variables) |
최대 50개 | 최대 75개 |
이벤트 추적 | YES | YES |
필터 | YES | YES |
데이터원본 접근가능 (Raw Data) |
YES (유료), BigQuery Export 사용 |
YES (유료), |
사용자 IP확인 | NO | YES |
A/B 테스트 | YES |
YES, |
3. 세그멘트/ 맞춤설정 | ||
기본 세그멘트 제공 | YES | YES |
맞춤형 세그멘트 | YES | YES |
세그멘트 다중 세분화 | NO | YES, Discover 사용 |
API | YES | YES |
맞춤 측정항목 (Custom Metrics) |
YES | YES |
맞춤 측정기준 (Custom Dimensions) |
YES | YES |
4. 리포트 기능성 | ||
모바일 | YES | YES |
소셜분석 | YES | YES |
데이터 가져오기 (Data Import) |
YES | YES |
데이터 내보내기 (Data Export) |
자동이메일, TSV, CSV, 엑셀, PDF, 구글드라이브 |
자동이메일, TSV, CSV, 엑셀, PDF, 워드 |
멀티채널 / 멀티세션 분석 | YES | First & Last Channel 만 가능 (별도설치 필요) |
맞춤형 대시보드 | YES | YES |
기여도분석 (Attribution) |
YES |
First, Last, Linear 모델만 가능 |
5. 광고캠페인 분석 및 활용도 | ||
구글 애드워즈 통합 | YES |
YES, |
더블클릭 통합 (DoubleClick) | YES | YES |
캠페인 성과분석 | YES | YES |
리마케팅 / 리타게팅 활용 | YES | NO |
인구통계 및 사용자 관심분야 분석 | YES | NO |
광고 노출 (Post-Impression) 트랙킹 | YES | NO |
6. 운영 / 관리 | ||
서비스 수준협약 (SLA) | YES | YES |
전담 계정관리자 | YES | YES |
24시간 지원 | YES | YES |
교육/트레이닝 | YES | YES |
비용 | 연간 $150,000 부터 |
사이트트래픽에 따라 다름 |
결론 및 개인적인 생각
여러 요소를 고려했을 때 내릴 수 있는 결론은 아래와 같습니다.
![]() |
![]() |
|
강점 | 매체 기여도 모델 데이터 통합 발전속도/가능성 |
사이트 최적화 니즈별 맞춤적용 데이터 세분화/복잡성 |
맞춤 설정/ 사용자 최적화 |
기업별 맞춤설정 가능함. | 구글애널리틱스보다 넓은폭으로 가능 (예: 더 많은 변수갯수) |
분석/ 리포트기능 |
기여도분석과 같은 고급분석을 손쉽게 확인. | 세그먼트를 보다 DEEP 하게 분석할 수 있음. |
비용/ 유지보수 |
SiteCatalyst 보다 낮은 비용. 추후 유지관리 비용 및 노력도 비교적 적은 편. | 유지관리 상대적으로 높은 시간과 노력 필요. |
저 뿐만 아니라 많은 사용자들이 GA와 옴니추어 두 가지 툴 모두 사용하며 각자의 의견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.
구글의 경우 특히 범용 로그분석 (유니버설 애널리틱스) 으로 “기기“아닌 “사용자” 중심의 분석이 가능해지면서, 24시간 온라인상태인 현대인의 패턴을 보다 잘 분석할 수 있게되었습니다. 또 태그매니저를 활용해서 추적코드적용에 들어가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게 된 건 정말이지 혁신적이라고 생각합니다 ^^. 태그매니저가 나오기 전에 추적코드 적용은 IT와 마케팅팀 모두에게 큰 Resource 를 필요로 하는 작업이었거든요.
지난해 미국내 500대 기업 (Fortune 500) 의 로그분석 툴 현황에 따르면 구글 애널리틱스가 63%로 1위, 어도비는 25% 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. 500대 기업 10군데 중 6곳은 GA, 3곳은 Adobe 를 사용하는 셈입니다.
어떤 분석툴을 선택하는지는 결국 기업의 목적에 따라 달라지겠지만, 두 솔루션이 어떻게 진화할지 많은 관심과 기대가 갑니다.